블로그를 시작하면 왜 모두 도메인 구매를 강력 추천 할까요?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도메인은 그 자체로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서브 도메인(하위 도메인)까지 추가 승인 없이 광고 게재가 가능해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됩니다.
구글 블로거(블로그 스팟)의 자체 도메인은 무료이지만 길거나 원하는 도메인 명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 맞춤 도메인은 짧고 간결한 맞춤 도메인은 블로그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주고 방문자들에게 기억하기 쉽고 전문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구글 블로거(블로그 스팟)에 맞춤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맞춤 도메인 등록
우선 제가 도메인을 구매 및 관리하는 곳은 '닷홈'이라는 곳에서 진행 합니다.
도메인 구매 하신 곳이 다르더라도 DNS 레코드 관리등 안에 사용되는 명칭은 같으므로 따라오시는데 큰 지장은 없을 것이라고 봅니다.
내 블로그에 맞춤 도메인 연결
구글 블로거(블로그 스팟) 대시보드 -> 설정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게시 항목에서 맞춤 도메인을 선택 합니다.
저장을 누르고 맞춤 팝업 창에 나타나는 빨간색 안내 메시지 내용 입니다.
쉽게 말해 지정한 값과 임의 값의 DNS 레코드를 2개 추가 하면 된다는 뜻 입니다.
이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도메인 등록기관의 웹사이트에서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 설정을 찾아 다음의 CNAME 2개를 입력하세요. (이름: test, 대상: ghs.google.com 및 (이름: 임의 값, 대상: 임의 값).
DNS 레코드 관리
첫 번째 DNS 레코드 추가
메인 도메인인 경우 첫번째 DNS 레코드 추가만 하셔도 맞춤 도메인 연결이 가능합니다.
① 타입 : 'CNAME'를 선택 합니다.
② 이름 : 메인 도메인을 사용 하실 경우 빈 공간으로 하시면 되고 서브 도메인인 경우 원하는 서브 도메인 명을 추가 하시면 됩니다.
③ TTL : 값은 3600을 선택 합니다.
④ 값(대상) : 항목에는 블로그 연결을 위해서 'ghs.google.com'를 입력하시고 추가 하시면 됩니다.
두 번째 DNS 레코드 추가
위와 똑같이 두 번째 DNS 레코드 추가 시 맞춤 도메인 등록 팝업 창에서 안내 되었던 임의 이름 값과 대상(DNS 레코드 추가에서는 값 입니다.)을 추가로 넣으셔야 서브(하위) 도메인이 등록됩니다.
① 타입 : 'CNAME'를 선택 합니다.
② 이름 : 빨간색 안내 메시지에서 안내 되었던 이름 : 임의 값 추가 합니다.
③ TTL : 값은 3600을 선택 합니다.
④ 값(대상) : 빨간색 안내 메시지에서 안내 되었던 대상 : 임의 값 추가 합니다.
맞춤 도메인 연결
구글 블로거(블로그 스팟) 대시보드 -> 설정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게시 항목에서 맞춤 도메인을 선택 합니다.
맞춤 도메인 완료 후 도메인 연결까지 1~2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점 참고 바랍니다.